'감상/ういんどみる'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0.05.29 HHG 女神の終焉 [HHG 여신의 종언]
  2. 2020.05.20 Hyper→Highspeed→Genius 2
posted by 벼루_ 2020. 5. 29. 01:52

 2013년에 윈드밀에서 발매한 HHG 여신의 종언을 올클리어 헀습니다.

 이 작품은 2011년에 발매한 Hyper→Highspeed→Genius의 후속작으로 오리지널판을 재미있게 해서 후속작 개념인 HHG 여신의 종언도 잡았는데 개인적으로 오리지널판이 더 재미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큰 구성 자체는 전작과 변하지 않았네요.

 공통루트 이후로 3개의 학원의 스토리로 나눠지는데 이번에는 각 학원당 3명이 아니라 2명으로 히로인들이 줄긴했는데 대신에 메피스트와 와 여동생인 히카리의 루트가 각각 있어서 최종적으로는 8개의 루트였습니다.

 

 전작은 성녀후보들끼리 경쟁이 주된 내용이였다면 이번에는 주인공의 기억찾기가 주된 내용이였네요.

 특히 플레이 도중도중 떡밥이 나올때마다 주인공의 두통과 함께 전작과의 연결점을 은근슬쩍 암시할때마다 도대체 어떤 사정이길래 주인공은 기억은 잃어버리고 히카리랑 메피스트도 따로 있으며 최초의 성녀 아나에 대한 언급과 전작 메인 히로인 3인방의 기프트를 전부 가지고 있는 히로인등등 전작을 플레이 했으면 진짜 왜 이모양 이꼴이 됬지.....? 라는 생각이 들면서 세계관이 궁금해서 뒷내용을 기달리는 구성자체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스토리는 영 별로였습니다.

 전작인 HHG도 딱히 스토리가 엄청 좋은 작품은 아니였지만 그때는 10명의 히로인의 물량공세와 그 만큼 잘뽑힌 캐릭터들 그리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이능력물이라는 점이 재미있었는데 이번 작품은 히로인수는 비슷했지만 괜히 스토리를 복잡하여 만들어서 오히려 장점이 사라진 느낌이였네요.

 

 전작에는 그래도 성녀후보들끼리 성녀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내용을 보는 맛이 있는데 이번에는 그런 점이 없이 다같이 거대한 악과 싸운다는 좀 진부한 전개인 점도 한 몫 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HHG는 괜히 무겁고 스토리 꼬는 것보다 가볍게 캐릭터보면서 즐길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에는 그 장점이 완전히 사라진점이 가장 아쉬웠습니다.

 괜히 스케일을 키웠다가 실패한 케이스였네요.

 

 개별루트를 보면 차기성녀라고 불리는 나데시코와 아야히메쪽은 본인들 이야기 보다는 여신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성녀기사단의 차기 단장후보인 피아나와 그 여동생의 에르아리아는 최초의 성녀인 아나의 이야기에,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프트를 3개를 가지고 있는 사리와 라이벌인 오피리아는 세계의 비밀에 관해서 등등 히로인들의 이야기의 이야기가 적은 점도 아쉬웠던 점였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도 최종보스전은 여전히 김이 빠지는 전개가 참.....

 분량문제인지 흑막이 너무 허무하게 정리되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전작도 그랬는데 나름 트루엔딩이면 트루엔딩에 걸맞는 분량이나 전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일반루트정도 아니 그보다 못한 전개라 마지막에 김이 쭉 빠지는 느낌이였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중간중간 나오는 개그포인트는 즐거웠고 뻔하기 하지만 지루하지는 않는 스토리, 여러가지 이능력이 나오는 점등등은 플러스 요소라고 생각하네요.

 덕분에 이번에도 전작보다는 아쉽지만 그래도 여전히 킬링타임용으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는 이능력물이라는 느낌은 그대로 유지된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캐릭터들 만큼은 잘 뽑았던 미연시였습니다.

 공략 히로인들뿐만 아니라 악역 포지션은 레이게츠를 포함하여 등장하는 대부분의 히로인들이 잘 뽑힌 점은 여전히 좋았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메피스트와 히카리가 분리되어서 나오고 각각의 루트도 있던 점이 가장 좋았던 점이였습니다.

 

 나데시코는 전통파적인 히로인의 느낌을 보여줘서 수행원인 아야히메와 츳코미 콤비가 보기 좋았고

 피아나와 에르아리아자매는 높은 텐션덕분에 플레이내내 즐겁게 플레이를 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도사 콤비인 사리와 오피리아는 복장도 취향이고 서로의 라이벌컨셉이 재미있어서 가장 재미있게 플레이한 스토리였네요. 사리도 귀엽고 오피이라도 귀엽고 둘 다 너무나 귀여웠습니다! 다만 사리는 생각보다 거유였던.... ㅠㅠ 

 

 전작인 HHG에서는 보여주지 않았던 진짜 순수한 메피스토의 모습을 히카리를 통해서 볼 수 있어서 너무너무 좋았습니다! 한 가지 모습에서 2가지 맛을 느낄 수 있었던 점은 마음에 들었지만 스토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이 많았던 점은 아쉬웠네요...... 

 가뜩이나 적은 루트분량인데 그중에서 절반이상이 겹치니 참.... 캐릭터는 잘 뽑아 두고 막상 제대로 그 캐릭터들을 매력적으로 묘사 못한 점때문에 더욱 더 아쉬웠던 미연시였습니다.

 

 그리고 작품소개에서는 뭔가 전작인 Hyper→Highspeed→Genius가 필수가 아닌것처럼 소개를 해봤는데 막상 해보니 거의 필수적으로 해야되는것 같더라구요.

 중간중간 기프트관련 떢밥은 물론이고 특정 히로인 루트에서 전작 히로인의 이름뿐만이 아니라 실루엣도 나오는 등 전작을 플레이 안했지만 이게 뭐지..?? 라는 장면이 종종 나왔습니다.

 

  무엇보다 트루엔딩중에서도 트루엔딩인 메피스토루트의 에필로그는 전작의 에필로그에서 이어져서 전작을 안했으면 그냥 넘어가지만 전작을 플레이 했지만 상당히 여운이 있는 에필로그가 된다는 생각이 들정도 였습니다. 

 

 만약 이 작품을 하실 예정인 분이시라면 꼭 전작을 플레이한 후에 이 작품을 플레이해야 더 재미있게 즐기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감상 > ういんどみる'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Highspeed→Genius  (2) 2020.05.20
posted by 벼루_ 2020. 5. 20. 22:57

 2011년에 윈드밀에서 발매한 Hyper→Highspeed→Genius를 올클리어 했습니다.

 작품자체는 옛날에 1번 클리어를 하긴 했는데 뭔가 스토리는 하나도 기억이 안나고 재미있었다는 느낌과 OP음악만 기억에 존재하고 후속작(?) 같은 HHG여신의 종언은 안해봐서 복습도 할겸 잡은 작품인데 진짜 플레이하는데 마치 처음 플레이하는 것 처럼 스토리나 반전이 기억이 하나도 안나서 신작하는 듯한 신선한 기분으로 플레이를 했습니다 ㅋㅋㅋㅋ

 

 일단 확실히 재미있었다는 기억만 남아 있었을 정도로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긴 했습니다.

 3개의 학원에 각 학원별로 3명의 히로인들, 그리고 메인히로인인 히카리까지 총 10명의 히로인이라 잘못 하면 어수선한 느낌을 줄 수 있었는데 비교적 초반에 각 학원별로 루트가 분기되어서 하나의 학원에 들어가면 다른 학원 이야기는 거의 안나오지만 반대로 트루엔딩격인 히카리루트에 가면 반대로 모든 학원의 등장인물이 나오는 이야기 방식을 취해서 딱히 어수선하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았네요.

 

 그리고 10명의 히로인도 전부 제각각 개성이 있고 속성이 달르게 겹치는 포지션없이 캐릭터들을 잘뽑아낸 점이 이 작품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작품 자체가 능력자배틀물 요소도 가지고 있고 특히 미나즈키 학원 같은 경우는 다른 학원보다 스토리가 무겁게 나아갈 수도 있었는데 각 학원별로 분위기 메이커를 담당하는 히로인들이 있어서 가벼운 느낌의 작품이 된 점도 개인적으로는 좋았습니다.

 

 또 무엇보다 10명의 히로인들 모두를 공략할 수 있는 점은 무지 좋았네요.

 요세 많은 미연시들이 캐릭터는 엄청 잘 뽑아두고서는 비공략으로 만들어서 피눈물을 흘린 적이 한 두번이 아닌데 이 작품은 캐릭터10명 전부 다 잘 뽑아주고 전부 공략 할 수 있게 해준 점이 너무나 좋았습니다. 

 

 다만 각 학원별로 나눠진 스토리에서는 약간 호불호가 갈리긴 했습니다. 딱히 최악! 이라는 느낌이 아니지만 미묘했던 학원이 있었네요.

 먼저 스이나가 성녀후보로 존재하고 유메코하고 우타코가 보좌로 존재하는 사츠키학원의 경우는 좋게 말하면 정통 학원물이였고 나쁘게 말하면 임펙트가 너무 없어서 심심했네요...

 나름 능력자물인데 관련 이야기도 크게 없고 너무 무난무난하게 흘러간 점이 아쉬웠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주인공인 큐우시로우는 스이나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였네요. 스이나처럼 오랫동안 짝사랑하는 스타일을 좋아하긴 해서...

 

 반대로 히메노를 필두로하고 쿄우카하고 파티가 포진해 있는 미나즈키학원의 경우에는 너무 무거운 분위기였다고 생각하네요...

 다른 학원들이 병정놀이를 하고 있다고 하면 애들은 무슨 혼자 전쟁놀이 하는 듯한 느낌이.........

 하지만 가장 마음에 드는 히로인인 히메노가 있어서 그냥 좋았습니다! 흑발+로리+빈유라니!!! 진짜 최고의 조합이였습니다! 히메노님!!!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사쿠라가 성녀후보로 있는 성 쥴라이학원의 이야기가 가장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귀여운 아이리스쨩도 있고 메이드인 카에데도 있으며 스토리자체도 너무 가볍지도 너무 무겁지도 않은 그 중간을 가장 잘 취했다고 생각하네요. 그리고 기프트(능력)을 제외하고 보면 순수하게 성녀라는 직위가 가장 잘 어울리는 히로인은 사쿠라라고 생각드네요.

 그리고 아이리스쨩.... 이런 여동생이 있었으면 행복살벌할 것 같습니다 ㅋㅋㅋ 아이리스덕분에 성 쥴라이 학원 이야기를 엄청 웃으면서 봤네요.

 

 

 등장하는 캐릭터에서는 만이 없었지만 스토리쪽에서는 약간 아쉬운 점이 있었던 작품이기도 했습니다. 뭔가 중요한 부분에서 전개가 너무 급전개라는 느낌이 한두번이 아니라 자주 든 점이 아쉬웠네요.... 

 게다가 각 학원별 이야기이면 모를까 트루엔딩에서는 마지막전개가 너무 빠르게 진행된점이 가장 아쉬웠던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했던 모든 히로인이 공략되는 것의 단점이 히로인 1명1명의 스토리가 짧았다는 점도 아쉬웠네요. 

 서브 히로인인 성녀보좌들은 이해가 가긴 하지만 핵심인 성녀후보 3인방과 메인 히로인인 히카리루트마저도 크게 분량 차이가 나지 않는 점이 이 작품의 단점중 1개라고 생각합니다. 

 좀 만 더 개연성이 있게 스토리를 천천히 진행 시켰으면 더 좋은 작품이 될 수 있었을거라는 생각입니다.

 

 마지막인 트루엔딩인 히카리엔딩은 전개는 좋았습니다.

 그동안 잘 보여주지 않았던 능력자배틀의 요소도 나와주고 성녀후보들 루트에서 나왔던 떡밥들 그리고 제목의 의미와 주인공의 능력의 진정한 비밀도 나오고 해서 생각보다 짧아서 아쉬운 점이 있긴 했지만 그래도 지루할 틈이 없이 재미있게 플레이를 했습니다.

 

 다만 마지막의 마지막인 에필로그는 좀 미묘했네요....

 처음 타이틀화면에서 가만히 있으면 나오는 소리와 연결되는 듯한 느낌인데 결국은 여러가지 상상을 할 수 밖에 없는 엔딩이라....

 이런 엔딩도 종종 봐서 무조건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 작품에서는 오히려 확실하게 끝을 내주는 엔딩이 더 좋았다고 생각되네요.

 

 그래서 히카리는 너무나 좋았습니다.

 은발에 적안에 여동생 속성까지!!! 중간중간에 보여주는 모습도 너무나 귀여웠고 본인루트에서의 약해진 모습도 좋았습니다. 역시 메인 히로인이라는 자리를 차지할만한 히로인이였네요.

 다만 개인적인 취향으로써는 좀 더 빈유였으면 했던...... 

 HHG 여신의 종언을 하기전에 워밍업격으로 한 작품이였는데 뭐 나쁘지는 않았습니다.

 근데 게임 자체가 엄청 큰 반전이라던지 임펙트가 있는 작품이 아니라 또 몇년 지나면 까먹을 것 같긴 하네요 ㅋㅋ

 

 전체적으로 무겁지 않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그리고 매력있는 캐릭터들이 많이 나오는 이능력미연시라고 생각합니다.

 뭐 구작이라 많은 분들이 해보셧겠지만 아직 해보시지 않은 분들께서 딱히 할만한 미연시가 없을때 할만한 무난하게 재미있는 미연시라고 생각되네요.

 

 이젠 HHG 여신의 종언을 해야되는데 뭔가 여러모로 의미심장한 것들이 많이 있네요 ㅋㅋㅋ

 메피스트와 히카리가 따로 있고 렌게츠는 가면만 썻지 아무리 봐도 히카리(메피스토)인데 능력은 주인공이 가지고 있던 능력인 고속사고에다가 주인공은 기억상실....

 게다가 히로인1명은 오리지널의 성녀후보 3명의 능력을 전부 가지고 있고 하즈키학원이 배경이면 본 작품의 이후의 이야기같은건데 니시쿠죠선생님이 뭔가 동급생으로 설정되있고 여러모로 혼파망이네요 ㅋㅋㅋㅋㅋ

 HHG 여신의 종언에서는 또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됩니다!

'감상 > ういんどみる' 카테고리의 다른 글

HHG 女神の終焉 [HHG 여신의 종언]  (0) 2020.05.29